仁川歷史
[仁川歷史] 이경종(53회)/인천학생·스승 6·25 참전기 16회(퍼온글)
본문
퍼온곳 : 서울신문(18.10.30)
[인천학생·스승 6·25 참전기 16회]
“인천 제자들을 이끈 신봉순 선생님…호국정신의 혼 영원히 기억”
‘인천학생·스승 6·25 참전사 편찬위원회’ 창립과 활동
6·25 한국전쟁 당시 6년제 인천상업중학교 3학년생이었던 이경종(85) 씨는 6·25 전쟁에 자원입대하기 위해 1950년 12월 18일 인천에서 출발해 부산까지 500㎞를 매일 25㎞씩 20일간 걸어갔다.
1951년 1월 10일 부산육군 제2 훈련소(부산진국민학교)에 도착했으나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입대가 불허됐다. 결국 실종 군인의 군번을 부여받아 편법으로 입대했고 4년 동안 참전한 후 1954년 12월 5일 만기 제대했다.
1996년 7월 15일 이경종 씨는 큰아들 이규원 치과 원장과 함께 ‘인천학생·스승 6·25 참전사 편찬위원회’(이하 6·25 편찬위)를 창립해 199명의 참전 학생과 참전 스승(신봉순 대위)의 육성을 녹음하고, 흑백 참전 사진과 참전 관련 공문 등을 수집해 인천 중구 용동에 ‘인천학생 6·25 참전관’(오른쪽 사진)을 세웠다.
6·25 편찬위(위원장 이규원 치과 원장)는 부산까지 걸어가서 자원입대한 인천 학생 약 2500명과 참전 스승의 애국심을 기억하고, 전사한 인천 학생 208명과 스승 1명(심선택·1926년 10월 25일 인천에서 태어나 서울대를 졸업하고 해병 소위로 참전하여 1950년 11월 12일 24세 때 전사)을 추모하기 위해 ‘인천학생·스승 6·25 참전기’를 시리즈로 본지에 기고한다.
편집자 주
육군 제71 통신가설대 대대장 시절의 신봉순.
▲ 육군 제71 통신가설대 대대장 시절의 신봉순.
故 신봉순
▲공립인천상업중학교 교사
▲부산육군통신학교 교육대장
“고 신봉순 대장… 6·25 참전 인천 학생들과 남하 여학생들의 영원한 스승”
1922년 12월 1일 : 경기 부천 소사읍 송내 출생
1947년 7월 : 동경전자 통신대학 졸업
1947년 9월 : 공립인천상업중학교 교사 발령
1949년 1월 : 공립인천상업중학교 교사 사직
1949년 3월 : 육군사관학교 8기 졸업, 소위 임관
1951년 1월 : 부산 육군통신학교 유선교육대장
1965년 3월 : 육군 중령으로 예편
1998년 10월 10일 0시 04분 : 작고
1951년 6월 7일 수도사단 향로봉 전투에서 이경종(당시 16세).
▲ 1951년 6월 7일 수도사단 향로봉 전투에서 이경종(당시 16세).
고 신봉순 선생님을 추모하며…
20년 전 1998년 10월 10일은 6·25 참전 인천 학생들과 남하 여학생들의 영원한 스승님이신 부산육군통신학교 신봉순 교육대장님이 돌아가신 날입니다.
이제는 저의 아버지도 85살로 신봉순 선생님을 추모하는 글을 새로 쓰시기는 어렵습니다.
20년 전 1998년 11월 3일 날, 신봉순 선생님을 추모하며 저의 아버지께서 쓰셨던 “고 신봉순 선생님을 추모하며…”라는 글을 신봉순 선생님 20주기 추모사로 게재합니다.
이규원 인천학생·스승 6·25 참전사 편찬위원장
인천지역 중학생 출신 통신병들의 제대 기념 촬영 1954년 9월 29일 육군 제71 통신가설대대의 인천 지역 중학생 출신 통신병들의 제대 기념사진. 앞줄 가운데 앉은 사람이 신봉순 당시 대대장. 신봉순은 인천에서 부산까지 20일간 걸어서 남하한 인천 지역 중학교 1~3학년 학생들을 통신병으로 이끌었다.
▲ 인천지역 중학생 출신 통신병들의 제대 기념 촬영
1954년 9월 29일 육군 제71 통신가설대대의 인천 지역 중학생 출신 통신병들의 제대 기념사진. 앞줄 가운데 앉은 사람이 신봉순 당시 대대장. 신봉순은 인천에서 부산까지 20일간 걸어서 남하한 인천 지역 중학교 1~3학년 학생들을 통신병으로 이끌었다.
추모사
오곡백과가 무르익는 계절에 홀연히 돌아가신 신봉순(申鳳淳) 선생님의 영전에 이 한편의 글을 올립니다.
캄캄한 밤의 횃불이셨던 선생님
1996년 7월 15일 큰아들 이규원 치과 원장과 인천학생 6·25 참전 역사 찾기를 하기 위하여 인천학생스승 6·25 참전사 편찬위원회를 구성 출범해 놓고, 어디서부터 풀어야 하나 하고 고심하고 있을 때 선생님을 만난 것은 저희 2부자에게는 크나큰 행운이었으며 그 후 이어진 선생님의 가르침은 저희에게는 캄캄한 밤의 횃불이셨습니다.
뜻한 바 있어 군인 되신 선생님
선생님께서는 6·25 사변이 나기 전에 6년제 인천상업중학교(인천고교와 상인천중의 전신)에서 학생들에게 물상을 가르치시던 중 뜻한 바 있으셔서 육군사관학교 8기로 입교하시어 임관 후에는 6·25에 참전하셨습니다.
인천 제자들을 통신병으로 이끌어
1951년 1월 초에 인천에서 부산까지 20일간 걸어서 내려온 인천 학생들을 통신병으로 인도하셨습니다.
인천에서 가르친 제자들이 지휘관 옆에서 근무하는 통신병이 되는 것이 좀 더 나은 군 생활이 될 거라 생각하시며 통신학교로 입교하게 인도하셨습니다.
1951년 3월 20일 남하 인천 여학생들이 귀향하기 바로 전날 찍은 사진. 흰색 원 안이 신봉순 교육대장.
▲ 1951년 3월 20일 남하 인천 여학생들이 귀향하기 바로 전날 찍은 사진. 흰색 원 안이 신봉순 교육대장.
남하한 여학생들을 돌봐
인천학도의용대 여학생 대원 120여명이 남학생들과 똑같이 부산까지 20일간 걸어서 남하하였습니다.
남하 여학생들이 갈 곳이 없어서 고민을 할 때 선생님께서는 선뜻 부산육군통신학교 행정 보조 업무를 맡김으로써 갈 곳 없었던 여학생들을 몇 달간 데리고 있다가 인천이 수복되자 돌려보내 준 일도 하셨습니다.
첫 인터뷰·녹음해주신 선생님
선생님과 저와의 첫 만남은 1997년 5월 31일 부평중앙회관이었습니다. 그 자리에서 선생님께서는 제 손을 꼭 잡으시고 “다시 한번 꼭 만나자!”며 크나큰 격려의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그 후 1997년 6월 4일 첫 번째 인터뷰녹음을 하기 위해 부천시 송내동에 있는 선생님 댁을 방문하였습니다.
그날 선생님께서 하신 강조의 말씀은 “6·25 때 제자들이었던 인천 학생들과 남하한 여학생들과의 부산에서 만남을 통하여 확인된 나라와 고향을 지키기 위해 분연히 일어선 인천학도의용대의 나라 사랑 정신은 반드시 우리 후손들이 기억하여야 할 유산이다!”라고 하시며 일러주신 말씀을 바탕으로 역사 기록을 찾고 있습니다.
그 후로도 선생님께서는 틈만 나면 “6·25 참전 역사 편찬의 진전이 어떤가?” 하시며 걱정해 주셨으며 육군본부와 통신학교 등으로부터 자료를 알아보시고 알려주시기를 여러 번 하셨습니다.
이렇게 저희 인천학생 6·25 참전사 편찬위원회의 등불이셨던 선생님께서 금년 1998년 봄에 “자꾸 몸의 기력이 빠진다”고 걱정의 말씀을 하셨습니다.
그 후 금년 1998년 10월 9일 갑자기 선생님께서는 부천중앙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하셨다는 말을 듣고 급히 찾아가 보니까 선생님께서는 야윈 모습으로 병상에 누워 계셨습니다.
선생님께 마지막 이별 인사를
저는 선생님 곁으로 다가가며 속으로 “6·25 인천 학생들을 위해서라도 저렇게 누워 계시면 안 되는데…” 하면서 선생님 손을 꼭 잡았습니다.
인자하신 선생님 손길은 온기가 하나도 없으셨습니다. 그때 선생님께 “선생님 저를 알아보시겠습니까?”라고 물으니 선생님께서는 제 얼굴을 보시더니 고개를 끄떡이시며 손짓으로 글씨를 쓰시는 시늉을 하셨습니다.
그때 얼른 볼펜하고 종이를 드렸습니다. 선생님께서는 그 종이 위에 “학도의용대”라고 써주셨습니다.
학도의용대라는 마지막 글을 남기시고 그로부터 몇 시간 후 1998년 10월 10일 0시 4분에 선생님은 우리 곁을 영원히 떠나셨습니다.
신봉순 선생이 숨을 거두기 바로 몇 시간 전에 쓴 ‘학도의용대’ 글씨.
▲ 신봉순 선생이 숨을 거두기 바로 몇 시간 전에 쓴 ‘학도의용대’ 글씨.
선생님께서 마지막으로 쓴 ‘학도의용대’
지금 생각해 보니까 선생님께서 마지막으로 써주신 글씨 ‘학도의용대’는 인천학도의용대 역사편찬 일을 끝까지 잘 마무리 지으라는 말씀으로 지금도 생생히 들리고 있습니다.
1998년 10월 11일에는 편찬위원장과 함께 선생님 영전을 찾아뵙고 선생님 명복을 빌면서 하직 인사를 드렸습니다. 또한 편찬사업을 끝까지 잘 마무리 지을 것도 맹세하였습니다.
1998년 10월 12일 선생님께서는 부평화장장에 가셨습니다. 저는 그날 선생님을 따라가서 마지막 하직 인사를 드렸습니다.
“인천학도의용대 혼이 살아있었구나!”
이제는 선생님과 이별하여 점점 세월이 무심히 흘러갈 뿐입니다. 그러나 처음 만나던 날 선생님께서 해주신 그 한 말씀 “아~ 역시 인천학도의용대 호국 정신! 그 혼이 살아 있었구나!”라며 제 손을 꼭 잡아주시던 따스한 손길은 저의 가슴에 영원히 기억될 것입니다.
부평에서 소림사로 가시어 잠시 머무르시던 선생님은 1998년 10월 30일 이제는 영원히 누워 계실 국립대전 현충원(묘역 7-2768)에 안장되셨습니다.
제가 갈 길과 해야 할 일을 가르쳐주신 선생님, 이제는 모든 시름 다 잊으시고 편히 주무십시오. 그리고 선생님께서 돌아가시는 순간까지도 이끌어주신 인천학생 6·25 참전 역사 편찬사업을 계속할 수 있게 지켜주시는 수호신이 되어주시리라 저는 믿습니다.
저는 선생님을 기리며 이 가을 푸른 하늘을 눈이 시리도록 쳐다봅니다.
1998년 11월 3일 인천상업중학교 제자 이경종이 삼가 추모의 글을 올립니다.
글 사진 인천학생·스승 6·25 참전사 편찬위원회
인천학생·스승 6·25 참전사 편찬위원회 인천 중구 용동 178 (관람문의 032-766-7757)
▲ 인천학생·스승 6·25 참전사 편찬위원회 인천 중구 용동 178 (관람문의 032-766-7757)
알리는 말씀
“인천학생스승 6·25 참전기는 저의 아버지(6·25 참전 학생 이경종)께서 1997년 6월 4일 날 6·25 참전 스승 신봉순(부산육군통신학교 교육대장)님과의 인터뷰녹음을 처음 시작한 후 199명의 6·25 참전 학생을 일일이 만나 인터뷰녹음을 하고, 집에서 녹음기를 틀어 종이에 글로 옮긴 다음에 아래아 한글 프로그램을 배워 직접 한글자씩 타이핑해 한글 파일로 만든 것을 제가 고유명사가 틀린 것만을 교정하였기 때문에 맞춤법이 틀린 부분이 많습니다. 독자께서는 이 점 널리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추모사에 맞춤법이 틀린 부분이 있어도 많은 이해를 바랍니다.” 이규원(이경종 큰아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