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하는 인고인
'인천고인물사' 서식 통일(안) 수정 보완
본문
인고인물사 서식 통일 (안)
1. 아래 아 한글 바탕체를 기본으로 작성한다. 행간 공백, 쪽당 행수, 행별 글자 수 등은 아래아 한글 서식 기준을 따른다.
2. 10음절 이내로 원고 꼭지당 제목을 쓴다.
3. 제목은 중앙으로 17포인트 바탕체, 인물 이름은 13포인트 굴림체 진하게, 생몰년은 3포인트 굴림체 진하지 않게 졸업기수는 진하지 않는 12포인트 바탕체로 한다.
4. 주석은 넣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민족문화백과사전> 같은 지식정보 전달을 위한 문체를 원칙으로 하되 너무 드라이하지 않게 10% 정도 감성을 넣는다.
6. 고유명칭은 띄어 쓰지 않는다. →국립서울현충원
7. 외국지명의 행정구역, 산, 강 등은 띄어 쓰고, 우리나라 지명은 붙여 쓴다.
→안동시, 낙동강, 라인 강, 에베레스트 산 후쿠오카 시
8. 외국 지명(외래 고유명사)은 현지 발음대로 적는다. 원고의 첫 등장 단어는 괄호로 병기 → 뉴욕(Newyork) 도쿄(東京) 베이징(北京) .이후 다시 그 단어 나오면 병기하지 않는다
9. 숫자는 만 단위마다 구분하여 문자로 표기한다. →4억 5,745만 5,215원
10.도량형은 기호대로 쓰지 않는다. →300t 아닌 300톤, 16km 아닌 16킬로미터로
11.시간표시는15:45가 아닌 문자로 띄어서 표기한다. →3시 45분 오전 9시 30분
12.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기념일)을 표시할 때 가운뎃점을 쓴다. →3·1 운동, 8·15 광복, 6·25 전쟁
13.열거할 어구들을 동등한 자격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가운뎃점 쓴다. →가재연· 안학 · 정태윤 · 정구택
14.큰따옴표 “”는 글 가운데에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 말이나 글을 직접 인용할 때 쓴다.
작은따옴표 ‘’는 인용한 말 안에 또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 마음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 쓴다.
15.대괄호 [ ]는 괄호 안에 또 괄호를 쓸 필요가 있을 때 바깥쪽에 쓴다. 고유어에 대응하는 한자어를 함께 보일 때 쓴다. →나이[年歲], 낱말[單語], 손발[手足]
16.책이름 겹낫표는 로 통일한다.
17.소제목 홑낫표는 「 」로 통일한다
18.물결표 ~는 인물의 생몰년, 기간이나 거리 또는 범위를 나타낼 때 쓴다. →9월 15일~9월 25일, 김정희(1786~1856)
19.말줄임표는 여섯 점을 찍는 대신 세 점을 찍는다.
20.원고 끝의 참고문헌은 자료명 그대로 쓴다. 한자면 한자, 영어면 영어 일어면 일어로. 참고문헌을 추가할 때는 ;표를 쓴다. →「東亞日報」 1931.5.24 ; 「三千里」 1935.4.
21.신문 잡지 제목은 본문에서는 한글로 쓴다. →「동아일보」 「삼천리」
22.그밖의 것은 관례에 따른다.
----------------- 원 문 -----------------
'인천고인물사' 서식 통일 (안)
1. 아래 아 한글 바탕체를 기본으로 작성한다. 행간 공백, 쪽당 행수, 행별 글자 수 등은 아래아 한글 서식 기준을 따른다.
2. 10음절 이내로 원고 꼭지당 제목을 쓴다.
3. 제목은 중앙으로 17포인트 바탕체, 인물 이름은 13포인트 굴림체 진하게, 생몰년은 3포인트 굴림체 진하지 않게 졸업기수는 진하지 않는 12포인트 바탕체로 한다.
4. 주석은 넣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민족문화백과사전> 같은 지식정보 전달을 위한 문체를 원칙으로 하되 너무 드라이하지 않게 10% 정도 감성을 넣는다.
6. 고유명칭은 띄어 쓰지 않는다. →국립서울현충원
7. 외국지명의 행정구역, 산, 강 등은 띄어 쓰고, 우리나라 지명은 붙여 쓴다.
→안동시, 낙동강, 라인 강, 에베레스트 산 후쿠오카 시
8. 외국 지명(외래 고유명사)은 현지 발음대로 적는다. 원고의 첫 등장 단어는 괄호로 병기 → 뉴욕(Newyork) 도쿄(東京) 베이징(北京) .이후 다시 그 단어 나오면 병기하지 않는다
9. 숫자는 만 단위마다 구분하여 문자로 표기한다. →4억 5,745만 5,215원
10.도량형은 기호대로 쓰지 않는다. →300t 아닌 300톤, 16km 아닌 16킬로미터로
11.시간표시는15:45가 아닌 문자로 띄어서 표기한다. →오후3시 45분 오전 9시 30분
12.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기념일)을 표시할 때 가운뎃점을 쓴다. →3 ·1 운동, 8 ·15 광복, 6·25 전쟁
13.열거할 어구들을 동등한 자격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가운뎃점 쓴다. →가재연 · 안학 · 정태윤 · 정구택
14.큰따옴표 “”는 글 가운데에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 말이나 글을 직접 인용할 때 쓴다.
작은따옴표 ‘’는 인용한 말 안에 또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 마음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 쓴다.
15.대괄호 [ ]는 괄호 안에 또 괄호를 쓸 필요가 있을 때 바깥쪽에 쓴다. 고유어에 대응하는 한자어를 함께 보일 때 쓴다. →나이[年歲], 낱말[單語], 손발[手足]
16.책이름 겹낫표는 로 통일한다.
17.소제목 홑낫표는 「 」로 통일한다
18.물결표 ~는 인물의 생몰년, 기간이나 거리 또는 범위를 나타낼 때 쓴다. →9월 15일~9월 25일, 김정희(1786~1856)
19.말줄임표는 여섯 점을 찍는 대신 세 점을 찍는다.
20.원고 끝의 참고문헌은 자료명 그대로 쓴다. 한자면 한자, 영어면 영어 일어면 일어로. 참고문헌을 추가할 때는 ;표를 쓴다. →「東亞日報」 1931.5.24 ; 「三千里」 1935.4.
21.신문 잡지 제목은 본문에서는 한글로 쓴다. →「동아일보」 「삼천리」
22.그밖의 것은 관례에 따른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