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오피니언
새끼 바다 거북의 지혜
작성자 : 김연욱
작성일 : 2009.08.13 04:51
조회수 : 1,273
본문
바다거북은 바닷속에서 생활하지만
알을 낳을 때는 육지로 올라오는 습성이 있다.
해변이 어둠에 묻힐 때쯤 어미 거북은
알 낳을 장소를 고른 뒤
20~30분 동안 깊이 약 50cm,넓이 약 20cm의
모래 구덩이를 만들고 그 위에 자리를 잡는다.
어미 거북은 보통 500개에서 1,000여개의 알을 낳는다.
그리고는 구덩이를 모래로 덮고 다시 바다로 돌아간다.
그렇다면 부화한 수백 마리의 새끼 거북은
그 작은 몸으로 어떻게
깊은 모래 구덩이를 탈출해 바다로 가는것일까.
학자들이 새끼 거북들을 관찰한 결과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새끼 거북들은 조직적으로 서로 도우면서
구덩이를 빠져나왔다.
알에서 먼저 깨어난 새끼들 중
꼭대기에 있는 녀석은 천장을 파고
가운데 있는 녀석들은 벽을 허물고
밑에 있는 녀석들은 떨어지는 모래를 밟아 다지면서
다 함께 구덩이 밖으로 기어 나온 것이다.
학자들은 협력에 따른 탈출 성공률을 확인하고자
구덩이에 알을 개수별로 놓아 보았다.
그 결과 1개씨 묻어 놓았을 때 27%
2개씩 묻어 놓았을 때 84%
4개 이상을 묻어 놓았을 때는 100%에 가까운 성공률을 보였다.
경험과 능력이 부족한 새끼들이 본능적으로 서로 협력하여
어려움을 극복한다는 점은 우리를 되돌아보게 한다.
구덩이 속에서 자신만 살기 위해 노력했다면
서로를 끌어 내리는 경쟁자가 되었을 것이고
결국 눈 앞의 큰 벽을 허물지 못했을 것이다.
함께 밀어주고 끌어 주었기에 그들은
생명이 살아 숨쉬는 바다로 나아갈 수 있었다.
==좋은 생각 중에서==
이기주의가 사회 전체에 팽배한 요즘
다 함께 살아가는 최선의 방법이 무엇인지
깨닫게 해 주는 교훈인 것 같습니다.
우리 인고인들의 삶이
새끼 거북이처럼
협력하여 위기를 함께 극복하는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었으면 합니다.
알을 낳을 때는 육지로 올라오는 습성이 있다.
해변이 어둠에 묻힐 때쯤 어미 거북은
알 낳을 장소를 고른 뒤
20~30분 동안 깊이 약 50cm,넓이 약 20cm의
모래 구덩이를 만들고 그 위에 자리를 잡는다.
어미 거북은 보통 500개에서 1,000여개의 알을 낳는다.
그리고는 구덩이를 모래로 덮고 다시 바다로 돌아간다.
그렇다면 부화한 수백 마리의 새끼 거북은
그 작은 몸으로 어떻게
깊은 모래 구덩이를 탈출해 바다로 가는것일까.
학자들이 새끼 거북들을 관찰한 결과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새끼 거북들은 조직적으로 서로 도우면서
구덩이를 빠져나왔다.
알에서 먼저 깨어난 새끼들 중
꼭대기에 있는 녀석은 천장을 파고
가운데 있는 녀석들은 벽을 허물고
밑에 있는 녀석들은 떨어지는 모래를 밟아 다지면서
다 함께 구덩이 밖으로 기어 나온 것이다.
학자들은 협력에 따른 탈출 성공률을 확인하고자
구덩이에 알을 개수별로 놓아 보았다.
그 결과 1개씨 묻어 놓았을 때 27%
2개씩 묻어 놓았을 때 84%
4개 이상을 묻어 놓았을 때는 100%에 가까운 성공률을 보였다.
경험과 능력이 부족한 새끼들이 본능적으로 서로 협력하여
어려움을 극복한다는 점은 우리를 되돌아보게 한다.
구덩이 속에서 자신만 살기 위해 노력했다면
서로를 끌어 내리는 경쟁자가 되었을 것이고
결국 눈 앞의 큰 벽을 허물지 못했을 것이다.
함께 밀어주고 끌어 주었기에 그들은
생명이 살아 숨쉬는 바다로 나아갈 수 있었다.
==좋은 생각 중에서==
이기주의가 사회 전체에 팽배한 요즘
다 함께 살아가는 최선의 방법이 무엇인지
깨닫게 해 주는 교훈인 것 같습니다.
우리 인고인들의 삶이
새끼 거북이처럼
협력하여 위기를 함께 극복하는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었으면 합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