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오피니언
류창현(67회) 인천논단/굶어 죽는 날벌레 (퍼온글)
본문
퍼온곳 : 인천신문(11. 1.18)
굶어 죽는 날벌레
/류창현 객원논설위원
겨울이라고는 하지만 요즈음 날씨가 근년에 보기 드물게 몹시 춥다.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는 구제역에 조류 인플루엔저까지 발생했으니 이래저래 몸과 마음이 스산하고 심난하다. 구제역으로 살처분되는 소나 돼지들의 죽음을 보면서 동물이나 사람이나 여러 가지로 세상살이가 힘들어지는 것같다. 그러나 아무리 춥고 모든 생명체들에게는 고통스런 계절이지만 그래도 겨울은 가고 봄은 오는 것이 자연의 이치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달력을 보니 입춘이 보름남짓 남았다. 명심보감 입지편에는 “일생의 계획은 어릴 때 세우고 일년의 계획은 봄에 세우고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세워야한다.(一生之計 在於幼 一年之計 在於春 一日之計 在於寅, 공자 三計之圖)”고 했다. 이 말대로라면 서서히 우리에게도 일년 계획을 준비해야할 할 때가 다가오는 것 같다. 어쩌면 많은 사람들은 새해 첫날부터 금년 일 년 계획과 목표를 세웠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새해 초 계획이나 목표는 세우지만 ‘작심삼일’이라는 말처럼 많은 사람들이 실천에 약하다.
곤충학자 ‘파브르’는 날벌레들의 생태를 관찰하던 중 매우 중요한 사실을 발견했다. 날벌레들은 아무런 목적도 없이 무턱대고 앞에서 날고 있는 다른 날벌레들만 따라서 빙빙 난다는 것이다. 즉 앞에 있는 다른 벌레가 돌면 자기도 그냥 따라 돈다. 어떤 방향이나 목적지도 없이 그냥 따라서 돌고 돈다. 돌고 있는 밑에다 먹을 것을 갖다 놓아도 거들떠보지도 않고 계속 돌기만 한단다.
그렇게 무턱대고 7일 동안이나 계속해서 돌던 날벌레들은 결국 굶어 죽고 만다고 한다. 또 미국 양로원 노인들의 사망률은 생일이나 공휴일 후에 급증한다고 한다. 그것은 대부분의 노인들이 크리스마스나 생일 등을 목표로 정하고 그날을 멋지게 보내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데 막상 그날이 되어 목표가 달성되고 나면 삶의 의지가 약화되기 때문이란다. 인생을 살아가는데는 목표와 목표 달성에 대한 의지가 매우 중요함을 입증하는 사례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은 구체적이고 확실한 목표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목표를 가지고 있다 해도 그것을 실천하려는 의지와 노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래서 그들은 방황하면서 인생의 귀중한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아무런 목표도 없이 파브르가 관찰한 날벌레 같은 모습으로 살아가는 사람이 전체인류의 87%에 이른다고 한다.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는 기회가 부족하거나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다. 기회는 항상 우리 주위에서 맴돌고 있다. 대부분이 목표를 설정하지 않았거나 목표를 설정했다하더라도 실천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목표나 실천계획을 세우지 않는 것일까? 그것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실천에 대한 의지가 없고 인내하고 노력하는데 자신이 없기 때문이란다. 사람들은 실천 의지와 노력도 부족하지만 실패를 두려워하는 경우도 많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실천에 대한 의지와 노력을 더욱 약화시킨다. 실패는 성공을 위한 불가피한 과정이다. 그 과정은 실패가 아니라 성공을 위한 연습일 뿐이다.
진부하지만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말은 성공은 실패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아무런 계획을 세우지 않으면 물론 아무런 실패도 없다. 그러나 그것은 매우 잘못된 생각이다. 따지고 보면 이 세상에 실패의 시련과 고통 없이 성공한 사람은 별로 없다.
발명왕이라고 하는 에디슨도 백열전구를 만드는데 성공하기까지는 2천999번의 실패 후 3천번째의 실험 끝에 성공했다고 한다.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2,999번의 실험도 사실 실패라고 할 수 없다. 2천999번의 모든 실험이 3천번째의 성공을 위한 과정이었기 때문이다. 2천999번의 실험 중 어느 한 번의 실험이라도 없었다면 3천번째의 성공은 없었을 테니까.
그 훌륭한 발명가인 에디슨도 백열등 하나를 만드는 최후 성공을 위해서 2천999번이라는 끈질긴 의지와 인내로 피나는 노력 즉 실험을 했던 것이다. 에디슨이 훌륭하다는 것은 3천번째의 성공보다 2천999번의 실패에도 포기하지 않고 3천번째의 실험을 할 수 있었던 의지와 노력이 아닐까.
연초에 세운 계획과 목표를 실천하려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정해진 목표를 향해 강한 의지와 인내로 끊임없이 도전하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러면 3천번째의 성공도 있는 것처럼 언젠가는 성공할 것이다.
2011년 01월 18일 (화)
인천신문 itoday@i-today.co.kr
댓글목록 0